로그인
회원가입
메뉴
마이페이지
임상톡톡
국제톡톡
교수톡톡
실습지침서 제작안내
실습지침서 제작신청
소량책자 제작안내
널싱서재
널싱튜브
국시톡톡
이널싱 사용법
널싱멘토
이널싱 소개
인사말
찾아오시는길
널소식
널문답
메일톡
구독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톡톡
국제톡톡
교수톡톡
널싱서재
널싱튜브
국시톡톡
이널싱 사용법
구독
과정 구분
온라인
집합
혼합
패키지
과정 카테고리
널싱튜브
국제톡톡
임상톡톡
국시톡톡
태그
호주간호사
국제간호사
해외간호사
선넘은간호사
호주간호사로선넘기
호주RN
RN
호주
호주임상영어
임상영어
검색어
검색
전체방송
약물 투약
근육주사
정맥주사
수액요법
항생제
항암제
수혈
드레싱
환자 파악
임상적 사고
인수인계
응급상황
산소요법
중환자 간호
특수환자간호
임상검사
심장질환 특수검사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역량 개발
기타
정렬
최신순
추천순
00:00
약물투약 BIG3 사이트 드럭인포 바로가기
00:00
약물투약 BIG3 사이트 킴스온라인 바로가기
00:00
약물투약 BIG3 사이트 약학정보원 바로가기
04:53
[정맥주사] 마약성 진통제 투여 전 부작용과 간호 중재 확인하기
03:09
[정맥주사] C.difficile 감염과 항생제 관련 설사의 평가
13:10
[정맥주사] 간호 실무 변화의 시작: 책임감 있는 행동의 의미
10:17
[정맥주사] 안전한 주사 투약을 위한 사전 점검과 주의사항
08:51
[정맥주사] BST 채혈 시 수액 주입 부위 고려사항
10:52
[정맥주사] 향정신성의약품과 마약류 분류 및 간호관리
12:23
[정맥주사] 약물용량 계산법 Part 2: 실전 문제풀이와 적용법
05:41
[정맥주사] 약물용량 계산법 Part 1: CIV 공식 이해와 암기법
02:21
[정맥주사] 로라제팜(아티반)의 안전한 투약과 간호 중재
09:47
[정맥주사] 주요 수액 종류와 성분 비교: 핵심 정리
14:39
[수액요법] 약물 희석 시 사용하는 용액의 구분과 임상 적용
09:58
[수액요법] 심박동수 조절 응급약물의 종류와 투여 요령
03:15
[수액요법] 만니톨 투여 속도와 임상 판단의 기준
07:54
[스액요법] 항생제 TDM과 약물농도 관리의 임상적 의의
06:44
[수액요법] 혈압 상승 약물의 작용기전과 임상 적용
08:51
[임상적 사고] 혈당검사 시 수액 주입 부위 사용 가능 여부
12:08
[임상적 사고] 초음파 유도 하 정맥주사 삽입 술기 가이드
05:56
[임상적 사고] 중심정맥관 관리 표준 절차: Central Line Bundle 소개
09:52
[임상적 사고] 근육주사와 피하주사 실수 사례와 예방 가이드
07:24
[임상적 사고] 중심정맥관(CVC) 헤파린 잠금의 최신 근거와 논란
10:32
[임상적 사고] 임상 현장에서 꼭 필요한 간호 아이템 제안
17:02
[임상적 사고] 자가발관 예방: 고위험 사례 분석과 간호 중재
09:12
[임상적 사고] 도뇨관과 방광세척 시 사용 용액의 구분과 적용
02:00
[임상적 사고] 공기 주입 관련 오해와 실제 임상 대응
07:03
[임상적 사고] 신생아 탯줄 IV 사용: 가능성과 임상 사례
05:09
[임상적 사고] 정맥관 채혈 후 압박 시간의 임상적 기준
10:17
[임상적 사고] 투약 준비의 안전성과 주사 전 확인 절차
09:07
[임상적 사고] 수분섭취량과 체중 변화 불일치의 원인 분석
14:50
[임상적 사고] 인계 전 신경학적 변화 인지와 CP 판단 오류
08:51
[임상적 사고] BST와 수액 주입부위: 채혈 시 고려해야 할 간호 판단
03:15
[임상적 사고] 만니톨 투여 속도: 임상 판단 기준과 안전 원칙
14:39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산소요법의 기본 원리: Flow rate와 FiO2 이해하기
06:45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정확한 플러싱 (Flushing) 기법과 주의사항
09:11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수혈 부작용의 유형과 간호 중재 방법
14:08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수혈 과정 실무 교육: 모니터링과 절차 핵심 정리
09:51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흡인성 폐렴의 예방과 대응 전략 3가지
05:39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치료식 (Therapeutic diet) 종류와 적용: 7분 요약
09:33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비위관(NG Tube) 삽입 후 X-ray 확인의 임상적 근거
11:36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드레싱 상태 평가: Intact 여부의 정확한 해석
06:28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드레싱의 적응과 선택: 임상적 판단 기준
02:40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기관흡인 시 흡입압력 조절의 중요성과 주의점
12:00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발작(Seizure) 간호의 핵심 요약: 9분 정리
09:07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체액 균형과 체중변화: I/O와 체중 변화의 불일치 해석
06:15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신경학적 검사에서 플래시 도구의 올바른 사용
17:02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자가발관 사례와 예방 전략
09:12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도뇨관 (Foley) 관리 및 방광세척: 절차와 주의사항
14:33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중심정맥과 (CVC) 유지 간호의 핵심 원칙과 실무 근거
07:59
[임상상황별 중재 및 절차] 정맥주사 (IV) 기본 술기: 6가지 테크닉의 임상 적용
08:52
[특수환자간호]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스펙트럼과 실무 특징
06:39
[특수환자간호] 비위생적 마사지 시술의 위험성과 간호사의 윤리적 경계
07:19
[특수환자간호] 빈맥(tachycardia) 대응 전략: 환자 상태 판단과 약물 중재
09:58
[특수환자간호] 심박동수 조절 응급약물의 투여 원칙과 임상 판단
03:09
[특수환자간호] C.difficile 감염 평가: 설사 증상과 항생제의 상관관계
02:57
[특수환자간호] ARDS 환자의 환기 설정: 적정 Tidal Volume 가이드
12:00
[특수환자간호] 발작(Seizure) 간호 핵심 요약: 증상 인지부터 응급 대응까지
07:26
[임상검사] 용혈(Hemolysis) 예방을 위한 채혈 기술과 주의사항
13:09
[임상검사] 항생제 피부반응검사(AST)의 필요성과 시행 기준
06:27
[임상검사] ABGA(동맥혈가스분석) 실무 적용 시 주의사항
09:59
[임상검사] VBGA 이해와 실무 적용을 위한 핵심 가이드
01:41
[임상검사] 혈액검체 채혈 순서의 중요성과 임상 적용
08:47
[임상검사] ICU 간호사를 위한 심전도 리듬 판독 기본 교육
10:45
[임상검사] 혈액검사 해석을 위한 기초 생리 원리 이해
14:53
[중환자 간호] 저체온요법(ArcticSun)의 원리와 적용 절차
05:20
[중환자 간호] 기도삽관 (Intubation) 필요 예측
07:12
[중환자 간호] E-tube 고정(Fixation)의 방법과 유지 관리
04:15
[중환자 간호] 튜브 막힘 문제 확인과 대처 과정
14:04
[중환자 간호] 복위자세(Prone Position)의 간호 적용과 주의사항
05:26
[중환자 간호] 낙상 예방 활동의 표준화와 환자안전 실천 전략
21:20
[중환자 간호]간접간호 활동의 범위와 역할 재정의
13:59
[중환자 간호] 중환자 배변간호의 표준 절차와 고려사항
12:54
[중환자 간호] 근거 기반 자세 변경(Positioning)의 임상적 중요성
09:48
[중환자 간호] 중환자 간호에서의 체위변경: 실무 절차와 근육 사용
13:02
[중환자 간호] 중환자실 간호 입문자를 위한 적응 전략
10:21
[중환자 간호] 중환자실 구조와 간호 흐름의 핵심 이해
09:44
[환자 파악] SpO2 모니터링의 원리와 정확한 측정법
10:22
[환자 파악] 간호사를 위한 NIHSS(신경학적 결손 사정 도구) 실무 가이드
00:53
[환자 파악] GCS vs. Motor Power: 가장 자주 헷갈리는 핵심 차이
09:41
[환자 파악] GCS와 Motor Power의 올바른 해석과 구분법
07:53
[환자 파악] GCS(Glasgow Coma Scale) 이해와 빠른 적용법
07:32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고유량 비강캐뉼라(HFNC) 사용법
05:29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혈액배양 검사 절차와 주의사항
14:39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수액 혼합 기준: DW/N/S 주사용수 차이
07:50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영양수액의 종류와 적용 기준
08:29
[의료기기와 특수장비]주사기 안전 사용 수칙과 최근 이슈
06:15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펜라이트 사용의 임상적 기준
02:57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ARDS환자에게 적절한 Tidal Volume 조절
21:45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기관절개관 관리와 응급대처
12:03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CRRT 운용 시 유의사항
44:07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체외막산소공급(ECMO) 구조와 사용법
07:50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CRRT 원리와 적용 이해
15:49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CRRT 핵심 절차 요약
28:47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지속신대체요법(CRRT) 기본 이해
31:36
[의료기기와 특수장비] 인공호흡기(Ventilator) 기초부터 실전까지
13:51
[응급상황] RSI(빠른 순서기관삽관) 간호 핵심
08:13
[응급상황] 기관삽관 간호 절차 이해
06:29
[응급상황] 자동 흉부압박장치(LUCAS) 사용법
09:58
[응급상황] 빈맥/서맥 응급약물 정리
09:40
[응급상황] 정맥로 확보 전 약물 투여 경로
06:55
[응급상황] 에피네프린 IM 투여 및 자가주사(EpiPen) 이해
03:17
[응급상황] 하임리히법의 정확한 시술 방법
07:19
[응급상황] 빈맥(Tachycardia) 응급대응 가이드
06:44
[응급상황] 쇼크 유형별 저혈압 간호중재
07:20
[응급상황] CPR 알고리즘 단계별 이해
09:02
[응급상황] 일반 병동 CPR 대응 절차
09:19
[응급상황] Shockable 리듬 CPR 대응 가이드
07:47
[응급상황] CPR 시 사용되는 약물 정리
12:23
[응급상황] ACLS 기반 Non-shockable CPR 시뮬레이션
13:10
[역량개발] 소년간호사 이모저모
16:01
[역량개발] 간호대학원 진학과 전문간호사 진로 가이드
08:32
[역량개발] 종합병원 경력의 지역병원 이직 전략
01:12
[역량개발] 간호업무의 시간관리와 업무 분배 전략
01:07
[역량개발] 간호사의 직무 정체성과 진로방향
08:14
[역량 개발] 임상 환경에서의 간호사 성장 역량
02:00
IV(혈관주사)를 할 때 용도에 맞는 needle을 선택해야 합니다. (정맥주사 요약 3.)
05:00
심전도 - 질환별 심전도 그래프 변화
04:00
심전도 - 심전도 파형의 형성 과정
03:00
심전도 - 흉부 유도, V1~V6
04:00
심전도 - 증폭유도, LEAD Ⅱ의 중요성
03:00
심전도 - 표준유도, 탈분극, 재분극
04:00
심전도의 기본 - 전극 부착, 주의 사항 등
05:00
각종미생물 검사 결과 - Culture, AFB
04:00
미생물검사 결과지 해석 - Culture (blood, sputum, urine, stool, drain)
03:00
혈액검사 - Amylase, Lipase – 췌장수치
02:00
혈액검사 - 알부민 (Albumin)
03:00
혈액검사 - AST/ALT(GOT/GPT) - 간 수치
02:00
혈액검사 - CRP - C반응성 단백검사
06:00
혈액검사 - CBC – 전혈구계산
04:00
피하주사 - 인슐린 피하주사 실전 (인슐린 요약 5.) / SC (Subcutaneous injection / hypodermic injection)
05:00
인슐린 - 피하주사 투약 주의사항 (인슐린 요약 4.) / Precautions when injecting subcutanoeusly!
04:00
인슐린 - 혼합형 인슐린 (인슐린 요약 3.) /Premixed insulin analogue.
03:00
인슐린 - 중간형, 지속형 인슐린 (인슐린 요약 2.) / Intermediate-acting & Long-acting insulin.
04:00
인슐린 - 초속효성, 속효성 인슐린 (인슐린 요약 1.) / Short-acting insulin.
02:00
항생제 - 반코마이신 (항생제 요약 4.) / Antibiotics – Vancomycin
03:00
항생제 - 카바페넴, 모노박탐, 옥사세펨, 퀴놀론 (항생제 요약 3.) / Antibiotics - carbapenem, monobactam, oxacephem, quinolone
02:00
항생제 -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요약 2.) / Antibiotics - cephalosporins
04:00
항생제 - 페니실린계 (항생제 요약 1.) / Antibiotics – Penicillins
05:00
수액 - 영양제, TPN (수액 요약 5.)
03:00
수액 - 알부민, 플라스마솔루션 (수액 요약 4.)
02:00
수액 - DW (포도당주사액) - (수액 요약 3.)
01:00
수액 - HS, HD(하트만용액, 하트만덱스액) - (수액 요약 2.)
02:00
수액 - 0.9%NS, 5%DS (0.9% 생리식염주사액, 5%포도당생리식염주사액) - (수액 요약 1.)
02:00
대퇴부의 IM(근육주사) - 위치, 주의사항을 함께 보시죠. (대퇴직근, 외측광근의 근육주사 요약 3.)
03:00
삼각근의 IM(근육주사) - 위치, 주의사항을 함께 보시죠. (삼각근의 근육주사 요약 2.)
04:00
IM(근육주사)는 위치를 잘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둔부의 근육주사 요약 1.)
02:00
실제 IV (정맥주사) 과정을 보시죠. (정맥주사 요약. 5)
03:00
수액 세트 활용, 수액 준비 과정과 주의 사항도 알아야겠지요. (정맥주사 요약 4.)
02:00
토니켓(Tourniquet) 활용 방법을 얼마나 잘 알고 계시나요? 혈관이 잘 나오게 하는 방법! (정맥주사 요약 2.)
01:00
IV(정맥주사)를 잘 하기 위한 기본 - 간호사의 위치와 환자의 자세가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정맥주사 요약 1.)
10:00
Q&A - RNJIYA가 유튜브를 만드는 방법 모두 공개
34:00
Story (8) : 잠들기 전 책 읽어 드려요.
08:00
Story (6) : 환자의 성향별 판단법과 응대방법
11:00
경험 이야기 – COVID 백신 접종 경험.
10:00
Q&A L-tube - L-tube regurgitation 할 때 다시 넣어주어야 하나요?
14:00
하늘로 떠나시는 환자 - 그 과정의 간호 업무에 대하여!
11:00
자궁경부암 백신 : HPV (인유두종바이러스)란 무엇인가?
13:00
고도비만 수술 종류와 효과, 부작용
02:00
[RNJIYA 공부하기~] 책 소개 - 정맥주사 내비게이션
03:00
[RNJIYA 공부하기~] 책 소개 - 환자파악 매뉴얼 (크램북 벼락치기)
04:00
[RNJIYA 공부하기~] 2년만에 완성! RNJIYA에게 인계받기 책 소개합니다.
07:00
[RNJIYA 공부하기~] RNJIYA의 근황 이야기 - 박사과정은 과제지옥~
10:00
[RNJIYA 공부하기~] Q&A (16) - RN지야 공부방법?
10:00
[RNJIYA 공부하기~] 간호사 공부방법 : 간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공부!
10:00
[간호사에 대하여~] Story (7) : 부서이동에 대한 경험과 의견
08:00
[간호사에 대하여~] Story(9) : 간호사는 앞으로도 유망한 직종
08:00
[간호사에 대하여~] Story (5) : 간호사가 어렵게 들어간 병원을 그만두는 이유
08:00
[간호사에 대하여~] Story (3) : 간호사가 어울리는 사람??
07:00
소개 : RN지야 첫 번째 이야기 – RN지야 소개
12:00
수혈 (4) : 수혈 4편 – 실전 수혈 영상
12:00
수혈 (3) : 수혈 3편 – 실전 수혈 진행
10:00
수혈 (2) : 수혈 2편 – ABO, Rh, 항체선별검사, 교차반응검사
14:00
수혈 (1) : 수혈 1편 – 검사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혈액종류
13:00
Dressing(6) : Dressing, 상처소독 6편
13:00
Dressing(5) : Dressing, 상처소독 5편
10:00
Dressing(4) : Dressing, 상처소독 4편
07:00
Dressing(3) : Dressing, 상처소독 3편
10:00
Dressing(2) : Dressing, 상처소독 2편
14:00
Dressing(1) : Dressing(상처소독)에 대하여~
04:00
산소요법 (5) : 번외편 ABGA 실전팁
11:00
산소요법 (4) : 산염기 균형 (pH)
13:00
산소요법 (3) : 산소요법 3편
14:00
산소요법 (2) : 산소요법 2편
11:00
산소요법 (1) : 산소요법 1편
11:00
Blood culture - 실전 영상과 주의사항
05:00
채혈 튜브 : 채혈 bottle에 혈액 담는 순서 & 주의사항
05:00
Q&A (3) : 채혈에 대하여
11:00
혈당검사 - BST, FBS, HbA1c의 차이
13:00
검사(13) : CT, MRI 검사에 대하여...
09:00
검사(12) : 초음파 검사에 대하여...
10:00
검사(11) : 영상의학과 검사, X-ray에 대하여
10:00
검사 (10) : 미생물검사결과 2편 (각종 culture, urine, stool)
10:00
검사 (9) : 미생물 검사 결과 1편 (Sputum culture)
08:00
검사 (8) : insulin/c-peptide – 인슐린 분비 검사
11:00
검사 (7) : FBS, BST, HbA1c – 혈당 검사
11:00
검사 (6) : amylase / lipase - 췌장기능 검사
12:00
검사 (5) : 알부민, 글로불린, A/G
09:00
검사 (4) : AST(SGOT) / ALT(SGPT) - 간기능 검사
10:00
검사 (3) : CRP
10:00
검사 (2) : 혈액검사 CBC & diff. 2편
08:00
검사 (1) : 혈액검사 CBC & diff. 1편
05:00
케모포트 : needling 방법
10:00
항암화학요법(3) - 세대별 항암제
09:00
항암화학요법(2) - 항암제 투약 준비
10:00
항암화학요법(1) - 항암제 종류
12:00
Q&A (9) - AST 할 때 피부를 알코올로 닦아야 하는가?
10:00
항생제 (7) : 주사약 항생제 4편 – 반코마이신, 테이코신
10:00
항생제 (6) : 주사약 항생제 5편 – ~마이신
10:00
항생제 (5) : 주사약 항생제 4편 – 퀴놀론계
12:00
항생제 (4) : 주사약 항생제 3편 – 카바페넴, 모노박탐, 옥사세펨
14:00
항생제 (3) : 주사약 항생제 2편 – 세팔로스포린계
20:00
항생제 (2) : 피내주사, AST(항생제 피부반응검사) 방법
10:00
항생제 (1) : 주사약 항생제 1편 – 페니실린계
10:00
Q&A (12) - 수액세트 공기 빼는 방법
10:00
수액 (6) : 수액 용도와 종류 6편 – 아미노산, 지질, 네프라민(신장질환), 글라민(당뇨질환)
10:00
수액 (5) : 수액 용도와 종류 5편 – 세롤, 만니톨(신장)
10:00
수액 (4): 수액 용도와 종류 4편 – 알부민(간), 플라즈마솔루션
10:00
수액 (3) : 수액 용도와 종류 3편 - 소아 수액 요법
10:00
수액 (2) : 수액 용도와 종류 2편 – 포도당 수액
12:00
수액 (1) : 수액 용도와 종류 1편
07:00
Q&A - 조영제를 사용한 분들에게 왜 감기약을 주는지요?
06:00
Q&A - PPI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뭔가요?
14:00
Q&A (14) : 투약 용량 계산 방법
11:00
투약(11) : 피하주사 (vial, pen 인슐린)
10:00
투약 (10) : 인슐린 3편
10:00
투약 (9) : 인슐린 2편
10:00
투약 (8) : 인슐린 1편
10:00
투약 (7) : 데노간 (Propacetamol Hydrochloride)
10:00
투약 (6) : 트리돌(Tramadol)
11:00
투약 (5) : 이뇨제 (라식스/푸로세미드, 스피로/알닥톤)
08:00
투약 (4) : 덱사메타손 2편
10:00
투약 (3) : 덱사메타손 1편
07:00
투약 (2) : 맥페란
10:00
투약 (1) : 페니라민(CTM)
12:00
검사(16) : 심전도 검사 3편 - 심전도 그래프, 파형
11:00
검사(15) : 심전도 검사 2편 - 12 LEAD의 모든 것!!!
13:00
검사(14) : 심전도 검사 1편
11:00
심장질환(5) - Holter EKG monitoring
11:00
심장질환(4) - Dobutamine이란 무엇인가?
11:00
심장질환(3) - 주된 치료 약물
11:00
심장질환(2) - 심장질환(2) - 심질환의 혈액검사
09:00
심장질환(1) - 심장질환에 주로 시행되는 검사
06:00
간호사 인계 - 항암화학요법, regimen, cancer(RN지야에게 인계받기!)
08:00
간호사 인계 - 울혈성 심부전, 3 vessel disease (RN지야에게 인계받기!)
04:00
간호사 인계 - 협심증 환자, CAG/PCI (RN지야에게 인계받기!)
07:00
간호사 인계 - 완전방실차단, 신부전 환자 (RN지야에게 인계받기!)
04:00
간호사 인계 - 총담관결석&담관염 환자 (RN지야에게 인계받기!)
02:00
간호사 인계 - 알코올 간경화 환자 (RN지야에게 인계받기!)
11:00
인계시리즈 – 간경변증(LC) 환자의 인계 풀이
11:00
인수인계 (8) : 인수인계 2번째 이야기... 4편
11:00
인수인계 (7) : 인수인계 2번째 이야기... 3편
10:00
인수인계 (6) : 인수인계 2번째 이야기
09:00
IV 후 테이프 붙이는 방법 - 안전 중요!
13:00
구독자님과 IV
09:00
Q&A(13) - “IV는 어떻게 하면 잘 돼요?”
10:00
Q&A(12) - IV 맞는 팔에서 채혈이나 BST를 하면 안되나요?
12:00
Q&A (11) - 혈관 위로 잡는 것이 맞는가?
06:00
Q&A (10) : 혈관에 공기가 들어갔을 때...
12:00
Q&A (9) - 3way 연결 및 사용 방법
10:00
Q&A (8) - 나비바늘 사용방법
12:00
Q&A (7) - 혈관통 호소하는 환자 관리 방법
14:00
Q&A (6) - 채혈 시 니들을 눕혀야 하는지?
10:00
Q&A (5) - 소아 IV시 면테이프 사용 이유
14:00
Q&A (4) : 손가락 혈관 IV
01:00
Q&A (3) : 팔 내측 혈관 IV 방법
01:00
Q&A (2) : 혈관이 바늘에 눌려요.
03:00
Q&A (1) : 움직이는 혈관 IV 방법
07:00
Story (2) : 주사 (선단, needle) 공포증
10:00
Story (1) : 신규 시절 IV(정맥주사) 경험담
20:00
IV (8) : 다리, 발목, 발 IV 경험담 & 노하우 7편
08:10
인수인계 (5) : 인수인계 2번째 이야기 1편
07:00
IV (7) : IV 3, 4편 영상의 Angio needle 사용에 대한 오류 정정
14:07
인수인계 (4) : 간호사 인수인계 4편
12:00
IM : 근육주사 위치와 방법
13:45
인수인계 (3) : 간호사 인수인계 3편
10:00
IV (6) : 소아 IV 경험담 & 노하우 6편
13:00
IV (5) : 18G에 대한 경험담 & 노하우 5편
11:53
인수인계 (2) : 간호사 인수인계 2편
09:00
IV (4) : 혈관타입 경험담 & 노하우 4편
07:00
IV (3): IV 경험담 & 노하우 3편
10:05
인수인계 (1) : 간호사 인수인계 1편
09:00
IV (2) : IV 경험담 & 노하우 2편
09:00
IV (1) : IV(정맥주사) 경험담 & 노하우 1편
1